백만 방문자와 소통하는

소셜홍보마케팅 -김진, 한빛미디어


소셜홍보마케팅 책에 '마인드프로세싱의 절대고수 신재용'으로 소개되었습니다.








<소셜에서 만난 숨은 고수들>

마인드프로세싱의 절대 고수, 신재용



보훈공단 대구보훈병원 신재용

 

Q. 어떤 일을 하시나요?

보훈공단 대구보훈병원 전산팀에서 의료정보시스템을 개발, 운영하고 있습니다.

잠 안 자면 딴 짓 하고 딴 짓 안하면 잠자는 의료IT 15년차의 정보관리기술사입니다.

세 딸아이의 아빠이며, 셋째 때는 회사에서 육아휴직 1년을 통해 온전히 좋은 시간을 보내기도 하였습니다.

최근에는 미래창조과학부의 한이음 IT멘토링 사업에서 IT멘토로 활동하며 산업체 전문가로써 대학생들의 다양한 프로젝트에 대해서 멘토링을 하고 있습니다. 덕분에 2013년도에는 미래창조과학부 장관 표창을 받았습니다.

많은 일들이 서울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시대에서 대구에서 거주하며 그 정보격차를 페이스북과 트위터로 해소하고 있습니다. 


Q. 마인드프로세싱을 사용하게 된 계기는 무엇인가요?

정보관리기술사라는 자격을 준비하며 마인드맵을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수능의 시험시간이 370분인데 기술사 시험은 400분입니다. 100분짜리 시험이 4교시가 있습니다. 더군다나 객관식이 아닌 서술식 시험이다 보니 400분 내내 볼펜으로 쉼없이 써야만 시험을 다 칠 수 있습니다. 시험을 치고 나면 볼펜이 1자루반이 닳습니다. 그렇게 볼펜 100자루를 다 쓰고서야 합격을 할 수 있었습니다.

시험범위 자체가 IT분야 전반이다 보니 고시마냥 공부해야 할 내용이 광범위 했습니다. 길어도 1년이면 끝날 줄 알았던 시험을 3년이나 걸리면서 효과적으로 공부할 방법을 찾다가 발견한 것이 마인드맵이었습니다.

씽크와이즈라는 소프트웨어를 기반으로 마인드맵을 시작하게 되었고, 공부해야 할 내용을 마인드맵으로 정리하면서 학습생산성이 오르고 결국 자격시험에 합격하게 되었습니다. 그렇게 정리한 내용들을 씽크와이즈 홈페이지에 공유하게 되었고 매월 마인드맵 고수를 선정하였는데, 9개월동안 고수로 선정되며 절대고수로 위촉되기도 하였습니다.

마인드맵 소프트웨어를 중심으로 마인드맵을 하다보니 너무 기술적으로만 접근하게 되는 한계점을 느끼게 되어 마인드맵을 만든 토니부잔의 한국법인 마인드맵코리아에서 아날로그 마인드맵에 대해서도 근본 원리를 공부하며 마인드맵 지도사 과정을 이수하였습니다.

마인드맵의 근본원리에 대해서 좀 더 깊게 알고 되면서 디지털 마인드맵과 아날로그 마인드맵을 상호 연계한 디지로그 마인드맵으로 발전하게 되었습니다.


Q. 마인드프로세싱은 주로 언제 활용하나요?

기본적으로는 학습을 위한 용도로 가장 많이 사용하였습니다. 방대한 학습량을 이미지를 활용하여 구조적으로 정리하는 방법은 마인드맵이 특효인 듯 합니다.

어려운 시험을 준비하는 분들일수록 마인드맵은 그 효과를 더욱 느낄 수 있을 겁니다. 중,고등학생들도 평소에 마인드맵으로 학습을 꾸준히 학습을 하면 시험기간에 따로 준비할 게 없다고도 합니다.

두 번째로 많이 활용하는 영역은 독서후의 독서내용 정리입니다. 독서를 하고 내용을 마인드맵으로 정리하면 책의 전체 내용이 한 장으로 정리가 되고 마인드맵을 그저 훝어보는 것 만으로 책의 내용이 머리에 그려지게 됩니다.

세 번째는 아이들과의 놀이입니다. 아이들과의 놀이를 마인드맵으로 하곤 합니다. 아이들과 그림 그리며 놀이삼아 마인드맵을 하다보면 아이들의 생각도 알 수 있고, 자연스럽게 아이들은 분류와 구조를 알게 되는 것 같습니다.


Q. 다른 분야에서 마인드맵으로 할 수 있는 것을 알려주세요.

마인드맵은 사실 개인적으로 자격시험을 위해서 공부하고, 논문을 쓰기 위해서 정리하고, 가족들과 놀이를 위해서도 활용하는 등 지극히 개인적인 용도로만 사용해 왔었습니다.

그러던 중에 나비(나로부터 비롯되는) 독서모임에 참여하면서 독서노트를 마인드맵을 만들어 공유하였더니, 다들 마인드맵에 대해서 궁금해하며 좀더 알려주기를 희망하였습니다. 마인드맵이라는 것에 대해서는 다들 어렴풋이 알고 있었지만 실제로 사용해본 적이 없었던 겁니다. 그래서 재능기부로 몇 번의 마인드맵 강의를 하게 되었고, 보다 많은 사람들에게 마인드맵을 좀더 쉽게 알려주어야 겠다는 작은 소명도 느끼게 되었습니다. 


Q. SNS는 어떤 용도로 사용하나요? 

블로그를 2004년부터 운영중이고, SNS는 2009년부터 트위터를 사용하다가 최근에는 페이스북을 주고 사용하고 있습니다.

SNS를 한다는건 기업이 주식상장을 위해 기업공개를 하는 것처럼 개인이 개인공개를 하는거라고 생각합니다. 개인을 주식상장한다는 생각으로 자신을 알리고자 하고, 자신의 관심사를 나누고자 한다면 지역과 언어를 넘어서 개인의 가치가 올라가는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시골의 유명한 백숙집 사장님이 될 것인지, 세계적인 치킨 체인점 대표가 될 것인지는 SNS의 활용에 달려 있기 때문입니다. 그게 아니라 그저 개인의 감정의 배설구처럼 사용한다면 오히려 독이 될 뿐입니다.


Q. 향후 인생계획은? 

IT분야의 소설을 쓰고 싶은 꿈이 있습니다. 의사, 변호사등 전문직종에 대한 소설과 드라마는 많이 있는데, 왜 우리네 IT분야의 프로그래머에 대한 이야기는 없을까 하는 생각입니다. TV드라마등에서 보여지는 IT전문가는 컴퓨터를 엄청 잘 만지고, 해킹을 자유자재로 하는 모습으로 묘사되곤 합니다만 실제의 IT현장에서는 사소한 에러에도 오랜 시간 씨름하고 현실과 이상의 벽에서 고민하는 건 다른 분야와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이러한 소설을 쓰기 위해서 마인드맵으로 시놉시스와 등장인물을 정리중입니다. 소설을 쓰게 된다면 아마도 SNS가 큰 역할을 하게 될 겁니다.



페이스북 : facebook.com/jentshin.net

트위터 : twitter.com/jentshin

블로그 : blog.jentshin.net

저서 : 프로그래머 그 다음 이야기 (신재용 외 공저, 2011)

Posted by 승당
l

마인드맵 재능기부 특강을 했습니다.


그간 독서모임에서 마인드맵을 자주 보여주었더니,
마인드맵을 알려달라는 바스나비의 요청으로 우연찮게 하게 되었습니다.

사실, 마인드맵을 사용한 건 오래 되었건만 필요에 의해서 쓰기만 했을뿐 그걸 강의로 하는건 처음인지라 다소 부담이 되긴했지만, 다행히 좋은 반응으로 마무리 하였네요...


나누는 것이 더 큰 기쁨이라는 걸 새삼 알게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Posted by 승당
l



씽크와이즈 Thinkwise 에서 UCC공모전에서 우수상을 받았습니다.

이후 UCC 댓글들이 많이 달려서 올려봅니다.





이 남자의 마인드맵 mindmap 사용법
http://www.thinkwise.co.kr/webpage/application/content.asp?ji_num=78&jb_idx=15578&jb_ref=15578


짧은 글일수록 상대방에 대한 예의와 배려가 필요합니다.
(주)심테크시스템(은)는 이견(異見)의 차이를 줄여주는 공간이 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박정필 (2013.11.26.09:12:55)   
마인드맵으로 책자까지 만들었다니 대단하시네요~
아이들과의 마인드맵 놀이도 너무 좋아 보입니다...


이영선 (2013.11.29.14:28:23)   
한편의 영화를 보는듯 합니다.
예쁜 아이들의 초롱한 눈망울이 감동을 더해주네요~
역쉬!! 씽크와이즈 절대고수님 이십니다!!


이은정 (2013.12.05.10:50:41)   
영상이 스토리있게 잘 짜여져 있고 아이들과 같이 그림공부 하듯 마인드맵을
즐겁게 즐기는 모습이 인상깊네요!!와우!
 
지은박 (2013.12.19.11:57:00)   
와우~너무 영상을 정돈되고 재미있게 만드셔서 몇번씩이나 봤네요ㅋㅋ
놀이도 되고, 교육도되고,디자인감성까지도 도움이 될듯요.
거기에 부녀간의 따뜻한 정까지 나누니
정말 여러모로 좋군요~
정말 좋은 아빠세요!Two thumbs up~~!!
 
양선영 (2014.02.21.15:28:45)   
신재용님의 UCC를 처음 봤을 때 할말을 잃었습니다.
ThinkWise와 마인드맵 활용모습도 그랬지만 더 깊이 감명받은 것은 오랫시간 끊임없이 스스로를 갈고 닦아오신 모습이었습니다.
오늘 하루를 어떻게 살았는지를 되돌아보게하는 영상이었습니다.
좋은 자료공유 감사합니다.
 
이수호 (2014.02.21.16:25:25)   
우와! 역시 성공의 기본은 자료정리인것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Thinkwise를 활용한 자료정리법 잘 보고갑니다! 자녀분들과 함께한 손마인드맵도 너무 이쁘네요! 아이들이 어려서부터 야무지게 자라겠는데요?^^


임동일 (2014.02.22.22:24:23)   
정말 꾸준한 노력으로 이룬 성공입니다.
회사업무에 저도 많이 이용하려고 사용하고 있지만, 이런 저런 핑계로 부끄러울 따름입니다.
간혹이기는 하지만 회사 중요 문서를 Think wise 문서로 작성해서 실무자들에게 업무에 활용하도록 배포한 적이 있습니다. 자랑하려고 시작한 것은 아닌데 이사님께서 보시고 훌륭하다는 말씀을 하셨습니다. 이에 힘을 받아서 좀더 업무효율을 증대하는 방안에 사용하려고 노력합니다.
오늘 이 동영상을 보니 더더욱 노력을 해야겠다는 마음을 다짐합니다.
고맙습니다........!


박순욱 (2014.02.27.08:34:49)   
그대의 열정이 Think wise를 만나 폭발하고 재창조 되네요^^ 앞으로 쭈~~~욱
 
정성기획 (2014.02.27.10:05:28)   
재미있으면서 머릿속에 앞으로 정리에 대한 노하우가 생겨나네요..
아이들을 키우는 가정이라면 아이들에 대한 마인드맵도 필요하고
앞으로 가정생활하면서도 꼭 필요한 마인드맵..
이제 저도 시작해야겠어요..
덕분에 좋은정보 좋은내용 잘 보고갑니다.
 
김영환 (2014.02.27.10:53:38)   
와~우 우선 배경음악이 너무 마음에 듭니다.
고수 답게 다양한 분야에서 저~엉말 잘 활용하고 계시네요.
아빠로서 딸과 함께하는 모습은 가슴을 따스하게 하시네요.^^
전문가가 될려면 20,000시간 이상을 써야한다고 하는데... 이미 20,000시간 이상을 하신 것이라면 전문가이심에 틀림없습니다. 고수님께 한 수 배워갑니다. 꾸벅
 
김정준 (2014.02.27.11:07:21)   
잔잔한 감동이 옵니다. 아이들과 함께 한 작업들 그림이 너무 예쁘네요.
아이들이 어떻게 자랄지 정말 기대가 되네요.
 
이승석 (2014.02.27.11:50:25)   
Thinkwise를 활용한 마인드 맵 자체가 생활이 되었군요. 우선 아이들도 아빠처럼 마인드 맵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는 것 같아서 보기 좋았습니다. 저도 제 아들(초2)에게 마인드 맵으로 독서 노트 및 체험 활동 계획 등을 작성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는 손으로 그려서 했지만 3학년이 되는 지금에는 본격적으로 Thinkwise를 가르쳐 주려고 합니다. 그래서 학교에서 배우는 교과서를 마인드 맵으로 같이 정리할 계획입니다. 인터넷의 많은 멀티미디어 자료를 찾아가며 스스로 정리하는 공부를 통해 [찾는 공부] [곱씹는 공부]를 할 수 있지 않을까 기대해 봅니다.
 
김연성 (2014.02.27.15:46:57)   
저는 회사업무용으로 잘 활용하고 있는데, 아이들을 위해 활용하는 모습이 보기 좋았습니다. 벤치마킹 해봐야겠네요~
 
김아론 (2014.02.27.17:41:56)   
가정과 일을 동시에 잡고 계시는 모습이 참 균형을 갖추고 계시다는 생각이 드네요 :) 잘 보았습니다 ^^
 
조성삼 (2014.02.28.00:29:43)   
인천에 사시는 조인서 목사님의 소개로 처음 마인드 맵을 소개 받았죠.
처음에는 의욕적으로 익혀 볼려고 성경 전체 개관을 지도로 그려 볼려고 수고한 기억이 나네요.
초기에는 성경에 대한 자료가 없었죠. ㅋㅋ 옛날 추억이 생각나서 몇자 적어 봅니다.
음악이 좋네요. 활기차고... 동영상 잘 만들었어요.
 
장진광 (2014.03.01.09:35:28)    
저도 회사다니면서 자기계발을 할려고 하고 있는데 어떻게 할까 막막했는데
정리하면서 하면 제게 이익이 될것 같네요
 
노다메 (2014.03.01.20:33:28)   
★ S사 신입사원 연수과정중에 마인드맵으로 자기 미래의 plan을 세워보는 시간이 있습니다. 각자 A4용지 한장과 싸인펜과 크레파스를 가지고 저마다 학창시절에 배운 미술실력을 총 동원하여 그림도 그리고 글도 써 나갑니다. 주로 음주와 금연, 돈도 많이 벌고 결혼도 하고 어학공부도 열심히 하겠다는 내용이 주를 이루었습니다. 그떄를 생각하면 UCC를 보니 감회가 새롭네요. thinkwise와 함께하면 아이디어가 샘솟는거 같습니다.
 
김성환 (2014.03.02.00:14:09)    
재미나게 만드셨네요. 쎈쑤있는 자막들. 그런데, 사진들을 보면서 열정이 대단하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열정에 의해 받은 도전. 덕분에 하나 얻고 갑니다. 빠샤!
 
주용수 (2014.03.02.00:38:24)    
UCC에 찍힌 마인드 맵 책자를 보니 평소에 손마인드 맵을 포함하여 마인드 맵을 사용하시는게 습관화 되신 듯 하네요. 마인드 맵이 인생의 한걸음에 도움이 되셨다니 축하드립니다. 또한 부럽기도 하네요. 아이들에게도 좋은 영향력을 끼치는 아빠가 되신 듯하네요. 도전되는 UCC 만들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신동헌 (2014.03.03.12:17:53)   
아이를 키우고 가르치는 입장에서 정말 공감가는 UCC네요. 저도 좀 더 적극적으로 다양하게 활용해봐야겠습니다. 좋은 영상 잘 봤습니다.
 
박상현 (2014.03.04.11:49:17)   
ThinkWise와 함께한 세월의 흔적이 보이네요... ThinkWise의 변화와 발전도 발견할 수 있었구요(usb의 변화 등).. 저의 경우도 나름 업무와 관련해서는 ThinkWise를 자주 사용하는 편인데, 가정에서는 잘 사용하기가 쉽지 않았는데, 고수님의 ucc를 보니 새로운 도전이 생기네요... 마침 어제 첫째 딸아이가 초등학교에 입학해서 한편으로 고민도 되고 부담도 있는데, 같이 손마인드맵 그리는 놀이부터 해봐야겠네요... 학교에서 어떤 일이 있었고, 어떤 기억들이 남았는지, 읽은 책의 내용은 무엇인지 등등... 그러면 2,3년 후면 나름대로 생각을 정리하는 법도 익혀질 것 같고, 스스로 사고하는 훈련에도 많은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이렇게 고수님의 훌륭한 활용기를 보게되어 감개가 무량합니다.. 앞으로 새로운 고수의 탄생을 기다려 주십시오~~ 
 
김진혁 (2014.03.04.22:36:28)   
저도 곧 아빠가 될텐데, 씽크와이즈를 활용할 수 있는 아빠라면 참... 멋지네요.^^
 
박명근 (2014.03.05.16:46:19)    
자녀들에게 어떻게 하면 유익한 교육적 유산을 남길까가 대부분의 부모들의 고민일텐데
신재용님은 너무도 쉽게 씽크와이즈를 통한 자녀교육을 하고 있군요
저희 아이들에게 시도해 봤는데 쉽지 않아 손을 놓고 있었는데 시도해 봐야 겠다는 생각이 드는군요 감사합니다 
 
조규필 (2014.03.09.08:19:38)    
저 같은 경우 직장에서 나눠준 아이패드를 무겁다고 썩히고 있었는데 그렇게 사용할 수 있다고 생각하니 참 대단하다는 생각이 드네요.
학원에서 수업 자체를 씽크와이즈로 하다니...
직장에서 출퇴근하며 하루 2시간씩 낭비하고 있는데 저도 아이패드로 싱크와이즈 프로그램을 제대로 사용할 수 있겠다는 팁을 얻고 갑니다.
좋은 아빠 모습도 보기 좋았어요~~~
 
전계덕 (2014.03.11.11:39:50)    
신재용님 역시 최고십니다.
저도 딸하고 그러고 싶은데 ~~~ 부럽습니다.
 
김광희 (2014.03.17.13:52:32)    
대단하시단 말 밖엔... ^^* 싱크와이즈의 가장 최고의 활용법을 보게되었네요..
따라해 보고 싶은게 넘 많습니다. 고맙습니다. 신재용님^^
초등 4학년 아이한테 싱크와이즈 마인드맵을 활용하여 계획을 짜보자는 말을하고 년간 계획표를
같이 짜보긴 했는데... 이리 무한할 정도로 활용하시는 신재용님을 보고... 암튼 놀랍네요^^
많이 보고 배우고 갑니다.
 
송춘자 (2014.03.22.16:51:28)    
마인드맵의 고수를 보는군요.
마인드맵 활용기 잘 보았습니다.
생활에 활용해 볼 수 있는 내용이 많네요.
감사합니다. 

이충재 (2014.05.23.23:23:47)   
어렸을때 부터 사전교육이 중요한거 같습니다. 생각을 정리하는 thinkwise는 진짜
좋은거 같네요 나아가서는 창의력과 차선책, 보안책을 강구하는 멎진거 같습니다
특히, 손으로 하는 마인드맵이 인상깊네요 저는 악필이라서 손으로 마인드맵 그리기 쉽기 않지만 현재 2009년 버젼을 잘 사용중이네요. 
 
김홍대 (2014.06.02.19:15:30)   
마인드맵을 생활화하시는 모습이 너무 보기가 좋습니다. 손으로 그리고 Thinkwise로 정리하고 신재용님의 따님은 최고의 교육을 받고 있네요.^^ 
 
박정준 (2014.06.05.08:03:42)   
이런 습관들이면 알아서 공부하는거죠 ~ 참교육입니다.  


김수경 (2014.06.18.14:45:57)   
와 멋지네요~~ ^^ 저도 한번??


배기창 (2014.07.01.17:38:13)   
정말 대단하시네요. 마인드맵을 어떻게 사용하는지에 대해서 교과서를 보는 듯 합니다. 아이의 교육을 위해서 아빠의 열정이 느껴집니다. 저는 많이 반성해야 할 것 같네요.  

UCC 공모전 참여 답례 메세지 - 정영교 대표이사


반갑습니다.  지난 17년간 ThinkWsie를 기획하고 개발해온 심테크시스템의 정영교입니다. 
소중한 경험과 가치를 이웃과 나누려는 여러분의 넉넉한 마음에 회사를 대표하여 깊은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아직 여러분을 개인적으로 만날 기회는 없었지만, ThinkWise에 대한 여러분의 컨텐츠가 전달하는 메세지는 다음과 같다고 생각합니다. 
1. 매사에 자신의 생각을 정리하려는 시도 자체가 변화를 위한 매우 중요한 시작이다.
2. 어느 정도 숙달되면 정체성과 숨겨진 능력 발견의 즐거움이 시작된다.
3. 자연인으로서, 가족과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자신이 얼마나 능력 있고 소중한 존재임을 사랑하게 된다.


아무리 작은 일이라도 "언제까지 어떻게 해보자"라고 적극적으로 생각하고, ThinkWise를 통해 생각을 구체화하여 실행에 옮기는 것을 반복한다면, 일 잘하는 사람이 되는 것은 시간문제라고 생각합니다.


목표와 일정(시작과 마감일)이 있는 모든 일을 "프로젝트"라고 한다면, 프로젝트는 한 점에서 시작하여 한점으로 끝나는 럭비공 모습일 것입니다.  그리고 우리의 일상은 크고 작은 많은 럭비공이 서로 얽히고 연결된 모습일 것입니다.   프로젝트를 잘 하는 사람을 "프로젝트 매스터"라고 한다면, 그 사람은 확산과 수렴적 사고를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사하면서, 디테일과 전체를 조감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사람일 것이며, 목표설정 능력과 문제해결 능력을 모두 갖춘 사람일 것입니다.  


지금과 완전히 다른 곳에서 완전히 다른 사람과 완전히 새로운 일을 하게 된다 하더라도 두려움이 없는 사람, 평범한 일에서도 자신의 관점에서 새로운 가능성과 가치를 찾아내는 사람이 프로젝트 매스터의 전형적인 모습입니다.  여러분은 이미 모두 "프로젝트 매스터" 임을 확신합니다.  


ThinkWise는 오랜 기간 진화해 오면서도 아직 부족한 부분이 많은 제품입니다.  앞으로 더 발전해 나가기 위해서는 여러분의 관심 어린 지적과 칭찬이 매우 중요합니다.  2040년 즈음이면 대한민국의 경쟁력이 전세계 2위에 도달한다는 기사가 있었습니다.  그 꿈이 현실이 되어가는 과정에 ThinkWise가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끝으로 ThinkWise를 사랑하는 여러분과 심테크시스템의 공통점을 미국의 어느 대통령 연설문을 통해 표현해봅니다. 
Some men see things as they are, and say "Why".  I dream things that never were, and say "Why not".

감사합니다.


정영교 심테크시스템 대표이사


Posted by 승당
l


이 남자의 마인드맵 사용법, 씽크와이즈 마인드맵 UCC 우수상




2008년즈음부터 사용해 오던 마인드맵에 대해서 UCC를 만들어 보았습니다.


마인드맵을 통해 어려운 자격시험도 합격하고, 글도 쓰고, 강의도 하고, 아이들과 놀이도 하고
많은 일들을 해왔던 것 같습니다.


내 인생의 소중한 아이템이 되어준 마인드맵입니다.





원문링크 :  http://www.thinkwise.co.kr/webpage/application/UCC_elec.asp

Posted by 승당
l

씽크와이즈 마인드맵 사용자 중에서 매월 맵고수를 선정하고,
9회이상 맵고수에 선정되면 절대고수로 인정하여 명예회원으로 위촉합니다.

2008년에 9회이상 맵고수에 선정되어 제2대 절대고수에 선정되었습니다.








Posted by 승당
l


부잔코리아 마인드맵 지도사 과정 MBI 5기 활동사진




마인드맵 부잔코리아 MBI(Mindmap Basic Instructor) 5기 활동사진입니다.
2008.12.20 ~ 12.21


마인드맵에 푸욱 빠지도록 도와주신 황윤정강사님을 비롯한 모두들 감사드립니다.


배경음악은 하얀거탑 OST 中 'B Rossette' 입니다.


Posted by 승당
l




혁신을 위한 창의적 사고 방법, 마인드 맵(Mind Map)


신재용(대구보훈병원, 전산실)

 

혁신이라는 단어를 자주 접하게 되는 요즘이다. 모두들 혁신을 이야기하는데 혁신이란 무엇이며, 어떻게 하면 혁신을 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나름의 답을 찾아보고자 한다. 혁신의 사전적인 의미는 창의적인 생각을 실천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혁신을 위한 전제조건인 창의적인 사고를 위한 방법이자 도구로서의 마인드 맵(Mind Map)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마인드 맵이란, 무순서 다차원적으로 떠오르는 생각을 마치 나무와 나뭇가지를 연결하듯 중심에서 방사형으로 펼쳐나가는 필기법이다. 영국의 심리학자 토니 부잔(Tony Buzan)이 두뇌의 창의적 특성을 연구하고 이를 반영하여 맵을 작성하는 동안 끊임없이 새로운 것을 생각하려는 심리가 작동하여 집중된 사고의 흐름을 유발 시킨다는 것에 착안하여 개발한 방법이다.

우리의 두뇌는 좌뇌와 우뇌로 나누어져 있으며 좌뇌는 사실(Fact)를 표현하며 언어적, 논리적, 분석적, 순차적, 수렴적인 특성을 가진다. 반면 우뇌는 상상(Idea)을 유발하며 회화적, 종합적, 직관적, 병렬적, 확산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두 가지의 조화는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일반적인 직선형 필기법은 좌뇌형의 필기법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는 논리적인 분석을 위해서는 좋은 방법이나 창의적인 사고를 위해서는 마인드 맵을 통한 우뇌형 필기법이 요구된다.


마인드 맵을 하기 위한 준비물은 종이 한장과 필기도구 그리고 편안한 마음이면 충분하며, 작성방법은 편안한 마음을 가지고 종이의 한가운데에 중심 제목을 적어놓고, 생각나는 대로 핵심단어를 도출시켜 나간다. 핵심단어는 다시 하위단어로 확대해 나가면서 이미지로 연상시킨다.

이는 두뇌폭풍이라고 불리는 브레인스토밍에서의 필기법으로도 많이 활용할 수 있다. 질보다는 양으로 아이디어를 발산하는 브레인스토밍에서는 다른 의견에 대해서 비판은 지양하고 꼬리에 꼬리를 무는 아이디어를 요구한다. 정말 기발한 아이디어는 다소 허황됨 속에서 나올지도 모르기 때문이다.

CQI 주제선정방식으로 흔히 브레인스토밍을 이용했다고 명시되어 있으나 실제로 그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마인드 맵을 이용한 회의를 한다면 더욱 좋은 주제선정과 보다 다양한 해결방안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혁신서포터즈 안건발의나 부서내 혁신을 위한 브레인스토밍 회의시에 마인드 맵을 이용하여 회의진행자는 회의의 주제를 맵의 제목으로 하고 브레인스토밍의 일반적인 원칙에 따라 참석자 개개인의 자유로운 발상을 유도하고 쏟아져 나오는 아이디어를 맵에 기록하면서 맵의 구조를 완성해 나가면 된다. 이렇게 하면 직선형 필기법과는 다르게 주제를 중심으로 하여 다양한 의견을 도출한 회의가 될 것이다. 또한 조직의 지식관리를 위한 체계적 지식의 정리를 필요로 한 경우에 활용되거나, 개인이 방대한 양의 학습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도 마인드 맵을 이용하면 시각적 사고(Visual Thinking)를 통해 학습능력이 향상된다.

이러한 마인드 맵을 만드는 작업은 종이에 필기도구를 이용해서 할 수도 있고 워드프로세서와 마찬가지의 마인드프로세서를 이용한 작성도 가능하다.

 

살펴본 바와 같이 마인드 맵을 이용하면 두뇌의 특성을 활용하여 혁신의 전제조건인 창의적인 사고를 하는데 획기적인 방법이 될 수 있다. 하지만, 혁신을 이루기 위해서는 이렇게 도출된 창의력을 지속적인 실천을 통해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데 있다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2006.12 


보훈공단_적성_141호.pdf


Posted by 승당
l



- 프롤로그
그간 디지털 마인드맵인 Thinkwise를 오랜기간 사용해 오면서
뭔지 모를 부족함을 느끼고 있었는데,

정진호님의 포스팅을 보구서는 [ http://lovesera.com/tt/352 ]
buzankorea의 마인드맵 교육 [ http://www.buzankorea.co.kr ]에
관심을 가지고 참석하게 되었다.

작지 않은 금액의 교육비이었지만,
어차피 마인드맵으로 생긴 부수입(?)이 있었던지라
재투자라고 생각하고 신청을 했다.

- 부잔코리아 MBI(Mindmap Basic Instructor) 과정
KTX를 타고 서울로 올라갔다.
사전에 공부하라는 책도 미리 구입해서 읽으면서 말이다.

이번 5기부터 서울유스호스텔에서 진행되었는데
호스텔이라는 이름과는 다르게 거진 호텔스럽게 좋은시설하에 공부할수 있었다.


첫시간부터 자기소개를 마인드맵으로 그리면서
아날로그 마인드맵의 세계로 빠져들 수 있었다.


그림이 개발새발~ ㅡㅡ+

비록 그림 하나하나는 못 그렸지만, 마인드맵 전체로 보면
마치 무언가 잘 그린것 마냥 보이는 마술을 부렸다~

- 교육 인증서
이틀 교육 받은것에 비해서 너무 과하게 멋진 인증서...ㅡㅡ+
조금 부끄럽기도 하거니와
앞으로 우리나라 마인드맵 보급에 좀 더 힘써야 겠다는 의무감까지 느껴졌다.

그리고, 그저 마인드맵을 조금 더 배워보고자 간 교육이었는데
너무나 좋은 사람들을 많이 만나게 된 것이 더욱 큰 보람이었는것 같다...^^*


원문 작성일 : 2008.12.22
원문 링크 : http://jentshin.new21.org/blog/?no=852


Posted by 승당
l